졸업논문작성법
-
2시간에 끝내는 학위 논문 작성법 4.지도교수2시간에 끝내는 학위 논문 작성법 2021. 6. 20. 21:30
지도교수는 당신의 논문∙졸업에 상당히 중요하다. 왜냐하면 논문심사 전까지는 당신을 괴롭힘으로써 당신의 논문 수준을 높여주고, 심사 당일은 당신을 위해 당신이 막지 못한 심사위원들의 공격을 막아줌으로써 당신의 졸업 가능성을 높여주기 때문이다. ○ 지도교수의 지도 열의를 식혀버리는 학생 − 지도교수와 처음 만난 자리에서 “연구주제 정해주세요”라고 요구∙협박(?)하는 학생 ▫ 자신의 논문에 대해 애정을 같지 않는 그리고 고민하지 않는 학생을 열정적으로 지도하고 싶지는 않다. − 신문기사, 책, 논문을 한 가방 가득 채워와서 전부 꺼내놓고 이야기하는 학생 혹은 지도교수의 질문에 “잠깐만요. 어디 있었는데…”하며 1분 넘게 종이를 뒤적거리고 있는 학생 ▫ 요약∙정리∙표시해서 오지 않는 (즉, 성의 없는) 학생을 ..
-
2시간에 끝내는 학위 논문 작성법 3. 논문의 형식(5)2시간에 끝내는 학위 논문 작성법 2021. 6. 20. 20:54
○ 가설은 근거가 필요하다 “자다가 봉창 두드린다”라는 말이 있다. 뜬금없이 뜻밖의 일을 불쑥 내미는 행동을 비유하는 속담이다. (통계적 연구방법을 사용하는) 논문에서 아무런 근거 없이 갑자기 (연구)가설이 툭 튀어나오면, 독자(심사위원)의 입장에서는 “무슨 자다가 봉창 두드리는 소리야”라는 말이 갑자기 툭 튀어나온다. 예를 들어, 저자가 갑자기 “키가 작은 학생이 키가 큰 학생보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성적이 높다.”라는 가설을 설정하면, “뜬금없이 왜?”라는 반응이 나오지 않는가? 하지만 다음과 같이 근거를 밝히고 가설을 설정하면 그 가설에 대해서 수긍할 수 있게 된다. (현재의 고등학교 시스템과는 다를 수 있지만 저자가 고등학생이었을 때의 상황에 비추어 볼 때) 키 순서로 자리를 배정받기 때문에, 키가..
-
2시간에 끝내는 학위 논문 작성법 3. 논문의 형식(4)2시간에 끝내는 학위 논문 작성법 2021. 6. 20. 20:52
○ 선행연구가 없다면 당신이 키우던 개가 죽어서, 새 강아지를 찾는다고 하자. 당신이 키웠던 개와 완전히 똑같은 강아지는 찾을 수 없다. 그렇다고 강아지 키우기를 포기하는가? 아니다. 동일한 종(삽살개, 진돗개 등)의 강아지를 찾을 것이다. 동일한 종의 강아지조차 찾을 수 없다면, 다른 종의 그러나 유사한 강아지를 찾을 것이다. 선행연구도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어, 연구주제가 공연예술에서의 바이럴마케팅(viral marketing) 효과여서, “공연예술 바이럴마케팅”을 검색어로 찾아봤는데 논문이 없다고 하자. 그렇다고 선행연구가 없는 것이 아니다. 다른 상품∙시장∙산업에서 분석된 바이럴마케팅이 있다면 그것 역시 선행연구가 된다. 그것조차도 없다면, 유사하게 사용되는 바이러스마케팅(virus marketi..
-
2시간에 끝내는 학위 논문 작성법 3. 논문의 형식(3)2시간에 끝내는 학위 논문 작성법 2021. 6. 20. 20:51
○ 논문마다 구성이 제각기 다르다 논문마다 구성(목차)이 다른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논문의 구성은 (독자가 이해하기 쉽게) 내용을 논리적으로 전개한 일종의 안내지도인데, 그 논리적인 전개라는 것이 연구주제, 연구방법, 학문분야에 따라 다를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즉, (표기법과 마찬가지로) 절대적으로 지켜야 하는 논문의 구성이라는 것은 없다. 다만 논문이기에 다음과 같은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좋으므로, 아래와 같은 목차를 논문구성으로 권한다. “①해서 ②하기 위해 ③을 연구한다. 이 연구는 ④를 바탕으로 하고 있고, 유사한 연구로는 ⑤가 있었다. 연구는 ⑥이라는 방법으로 이루어졌고, 결과는 ⑦이며 ⑧을 의미한다. 이번 연구는 ⑨의 상황에 한정된 것이므로 ⑩이라는 추가 연구도 필요하다.” 각 부분에 대..
-
2시간에 끝내는 학위 논문 작성법 3. 논문의 형식(2)2시간에 끝내는 학위 논문 작성법 2021. 6. 20. 20:43
○ 인용은 이런 식으로 인용법을 어기면 표절이므로, (모든 범죄가 적발되는 것도 그리고 처벌되는 것도 아니듯이 모든 표절이 적발되는 것도 처벌되는 것도 아니지만) 인용법만큼은 지키는 것이 좋다. 하지만 문제는 인용법 그리고 표절과 관련된 내용이 생각보다 많고 복잡하여 모두 학습∙인지하기에는 다소 시간이 걸린다는 것이다. 만약 그럴 여유가 없다면, 다음 사항만 지키면 무난할 것이다. − (사회과학에서는 직접인용이 필요한 경우가 거의 없으니) 가급적 직접인용은 하지 말고 간접인용을 하라. 직접인용은 인용하고자 하는 (다른 논문의) 문장을 따옴표(“”)를 이용하여 “복사해서 붙여 넣기(copy and paste)”하는 방법이고, 간접인용이란 (따옴표 없이) 재구성하여 표현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2시간에 끝내는 학위 논문 작성법 3. 논문의 형식(1)2시간에 끝내는 학위 논문 작성법 2021. 5. 21. 11:48
논문의 형식 (다시 한번 상기하자면) 논문은 자신의 사실∙주장을 타인에게 학문적으로 설득하는 글이기 때문에, 타인이 이해하기 쉽도록 (기본적으로 문법을 지키고) 논문의 형식(정해진 규칙)에 맞추어 써야 한다. 통용된 규칙은 익숙함인데, 그 규칙을 지키지 않으면 낯섦이 되어 이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지금 몇 시입니까?”라고 물었을 때, 2시 32분이라면 “두시 삼십이분입니다.”라고 하는 것이 익숙한데, “두시 서른두분입니다.” 혹은 “이시 삼십이분입니다.”라고 대답하면 상대방은 그 대답이 낯설어 순간 이해하지 못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누구나 졸업용 논문을 쓸 수 있다” 즉 “주어+목적어+동사”가 익숙한 규칙인데, 개성을 살리겠다고 모든 문장을 “누구나 쓸 수 있다 졸업용 논문을”처럼..
-
2시간에 끝내는 학위 논문 작성법- 2. 논리적인 글 작성2시간에 끝내는 학위 논문 작성법 2021. 5. 21. 11:06
2. 논리적인 글 논문은 반드시 논리적인 글이어야 한다. 왜냐하면 (다시 한번 언급하자면) 논문은 자신의 사실∙주장을 타인에게 학문적으로 설득하는 글이고, 학문적으로 설득한다는 것은 논리적으로 설득한다는 것이기 때문이다. 논리적인 글이라는 것은, 주장이 있다면 그 주장을 타인도 수긍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그리고 객관적인 근거”도 포함된 글을 말한다. 예를 들어, 다음 대화를 보자. ▷길동: 독도는 대한민국 영토다. ☏ 켄지: 왜? 근거는? ☎ 길동: 독도는 대한민국 영토라니까! ☏ 켄지: 그러니까 왜? 너의 말은 주장일 뿐이고, 그 주장에 타당한 근거를 대어보라고! ☎ 길동: “독도”라는 게 한국어잖아! 그러니까 독도는 대한민국 영토지. ☏ 켄지: 너희들이 독도라고 부르는 그 섬을 우리는 “다케시마”..
-
2시간에 끝내는 학위논문 작성법 - 1.연구 주제2시간에 끝내는 학위 논문 작성법 2021. 5. 21. 11:00
I. 논문이 갖추어야 할 3가지 (사회과학에서) 논문은 자신의 사실∙주장을 타인에게 학문적으로 설득하는 글이다. 그러므로 다음 세 가지 특성을 만족시켜야 한다. 첫째, 논문의 연구주제(사실∙주장)는 타인에게 가치가 있어야 한다. 타인을 설득하기 위해서는 우선 타인에게도 가치 있는 내용이어야 한다. 즉, 논문은 자기 자신만 만족하면 되는 일기가 아니다. 둘째, 논문의 내용은 논리적이어야 한다. 학문적으로 설득한다는 것은 논리적으로 설득한다는 것이다. 즉, 논문은 재미있기만 하면 되는 소설이 아니다. 셋째, 논문의 글은 정해진 규칙을 지켜야 한다. 타인을 설득하기 위해서는 타인이 이해하기 쉽도록 써야 한다. 타인이 이해하기 쉽도록 쓴다는 것은 기본적으로 문법을 지킨다는 것이고 나아가 논문의 형식(정해진 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