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시간에 끝내는 학위 논문 작성법 3. 논문의 형식(3)
    2시간에 끝내는 학위 논문 작성법 2021. 6. 20. 20:51

    ○ 논문마다 구성이 제각기 다르다

    논문마다 구성(목차)이 다른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논문의 구성은 (독자가 이해하기 쉽게) 내용을 논리적으로 전개한 일종의 안내지도인데, 그 논리적인 전개라는 것이 연구주제, 연구방법, 학문분야에 따라 다를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즉, (표기법과 마찬가지로) 절대적으로 지켜야 하는 논문의 구성이라는 것은 없다. 다만 논문이기에 다음과 같은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좋으므로, 아래와 같은 목차를 논문구성으로 권한다.
    “①해서 ②하기 위해 ③을 연구한다. 이 연구는 ④를 바탕으로 하고 있고, 유사한 연구로는 ⑤가 있었다. 연구는 ⑥이라는 방법으로 이루어졌고, 결과는 ⑦이며 ⑧을 의미한다. 이번 연구는 ⑨의 상황에 한정된 것이므로 ⑩이라는 추가 연구도 필요하다.”

      

    각 부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①: 연구배경 혹은 연구의 필요성, ②: 연구목적
    연구배경(연구의 필요성)은 당신이 논문의 연구주제로 ③을 정한 이유를 설명하는 부분이다. (물론 “졸업하기 위해서”이겠지만 이런 이유가 아니라) 자신의 연구가 “이러한 이유에서 필요하니 그만큼 중요한 연구이다”라고 연구의 중요성 및 가치를 부각시키는 부분이다.
    연구목적은 말 그대로 이번 연구를 통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이다. 그래서 때로는 연구목적이 “~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혹은 “~의 기초가 되고자 한다” 등 저자의 포부∙욕심이 반영되기도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논문은 연구배경 그 자체가 바로 연구의 목적이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연구배경과 연구목적을 구분하지 않고 하나만 취하면 된다. (다른 논문에서 “1. 연구배경”과 “2. 연구목적”으로 구분되어 있어, 자신도 그렇게 구분해야 하는 줄 알고 같은 내용을 연구배경에도 쓰고 연구목적에도 쓴 논문을 본 적이 있는데, 그럴 필요 없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가:
    A라는 현상이 나타났으며, 우리 삶의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현상에 대한 연구는 상당히 부족하다[여기까지 연구배경]. 이번 연구를 통해 이 현상에 대한 학계의 관심을 유도하고자 한다[연구목적].
    ▫ 나:
    B산업이 우리 삶에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어려움에 처해있다. 정부가 w라는 제도로 지원해왔지만 한계에 부딪혀있다. 이제 정부의 지원에 의존하는 것에서 벗어나 스스로 자생할 수 있는 대안을 찾아야 할 시점이 되었다[여기까지 연구배경]. 이번 연구는 B산업이 스스로 자생할 수 있도록 실무에서 참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연구목적].
    ▫ 다:

    − ③: 연구주제 혹은 연구문제
    (연구주제와 연구문제는 앞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부가적인 사항만 언급하자면) 논문에 따라서는 서론에서 연구주제를 언급한 다음에 (이후에 구체적으로 설명할) 연구결과를 간략하게 소개하기도 한다. 서론만 읽어도 논문 전체의 내용을 어느 정도 요약∙파악할 수 있도록 독자를 배려하기 위해서이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가: A라는 현상이 왜 나타나게 되었는지 그리고 그 현상이 우리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나: B산업이 스스로 자생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x, y, z이다.
    ▫ 다: 새로 만든 스물여덟 글자를 설명하겠다.

    − ④: 이론적 배경, ⑤: 선행연구 혹은 문헌연구
    이론적 배경은 이후에 본격적으로 전개될 내용, 즉 논문 전체에서 가장 전문적인 내용이 포함될 본문(연구방법 및 결과∙해석 부분)을 독자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필요한 배경지식을 제공하는 부분이다. 외국에 여행갈 때 그 나라를 이해하기 위해 지도∙문화∙역사∙언어를 미리 확인하듯이, 독자는 본문을 이해하기 위한 사전정보를 이론적 배경에서 얻는다.
    그러므로 A라는 현상에 대한 주제라면 A라는 현상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설명하면 되고, B산업에 대한 주제라면 B산업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설명하면 되며, C라는 분석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면 C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된다. 다만, 이미 널리 알려진 지식은 생략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논문에서 자료 값의 평균을 계산한다고 하여 (누구나 아는) 평균계산 공식을 이론적 배경에서 설명할 필요는 없다.
    선행연구(문헌연구)는 본 논문의 주제와 유사한 그래서 비교∙대조할 수 있는 기존 논문을 소개하는 부분이다. 물론 (이론적 배경과 마찬가지로) 독자가 유사한 논문을 접하게 함으로써 배경지식을 제공하는 역할도 한다. 선행연구가 본 논문의 독자가 다른 논문도 참고할 수 있도록 하는 “추천목록”이기도 하지만, 본 논문이 다른 논문과 어떻게 다른지 그 차별성을 부각시키는 “비교광고”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기존 논문의 내용을 단순히 요약해서 나열하고 끝내기 보다는, (가볍게라도 좋으니) 서로 비교하거나, 분류하거나, 장단점을 평가하는 등 추가적인 과정을 거치는 것이 좋다.
    참고로,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의 내용은 심사위원이 볼 때 (초보자인) 당신이 연구주제와 관련하여 얼마나 많이 공부했는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 그러므로 주제와 관련된 핵심 논문은 반드시 정리하고, 주제와 관련이 먼 논문은 포함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논문을 요약∙정리할 때는 구체적이고 정확하게 해야 한다.

    − ⑥: 연구방법, ⑦: 연구결과, ⑧: 결과해석
    본 논문에서 적용하고 있는 연구방법과 연구결과 그리고 그 결과에 대한 해석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부분이다.
    예를 들어, 자료를 바탕으로 가설을 검정하는 통계적 연구방법일 경우에는 다음과 같다.
    ▫ “1. 가설설정”에서 가설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 가설을 설정한 근거가 무엇인지 밝힌다.
    ▫ “2. 자료수집”에서 자료수집의 대상(표본)과 자료수집 방법(표본추출방법) 그리고 필요하다면 그 이유를 설명한다.
    ▫ “3. 통계적 분석방법 및 결과∙해석”에서 SPSS 등의 소프트웨어로 분석한 결과표를 제시하고 각 결과가 나타내는 의미를 해석한다.
    수학적 연구방법일 경우에는 다음과 같다.
    ▫ “1. 가정”에서 복잡한 현실을 단순화하기 위해 여러 가지를 가정한다.
    ▫ “2. 수리모형”에서 단순화한 현실의 의사결정을 수학식으로 나타낸다.
    ▫ “3. 수학적 분석방법 및 결과∙해석”에서 수학적 결과를 찾은 후 그 의미를 해석한다.
    이론 연구방법은 (위 두 연구방법과는 달리) 연구주제 및 학문분야에 따라 너무나 다양하다. 그러므로 주제 및 분야가 유사한 논문을 여러 개 참고하여 자신에게 적합한 구성을 취하거나, 지도교수에게 조언을 구하는 것이 좋다.

    − ⑨: 연구의 한계점, ⑩: 추가 연구 제안
    연구주제를 100% 완벽하게 분석할 수 있는 사람은 없다. 연구주제는 “현실”이고 분석은 “이론”인데, 이론은 현실을 완벽하게 설명할 수 없기 때문이다. 혹은 연구주제는 “전체(모집단)”인데 분석은 “부분(표본)”인데, 부분은 전체를 완벽하게 대표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분석한 결과는 D라는 상황에 한정된다.”라고 연구의 한계점을 밝히고, “추가적으로 E를 반영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처럼 추가 연구를 제안하는 것이 좋다.

    다음편
    https://ahademy.tistory.com/m/14

    2시간에 끝내는 학위 논문 작성법 3. 논문의 형식(4)

    ○  선행연구가 없다면 당신이 키우던 개가 죽어서, 새 강아지를 찾는다고 하자. 당신이 키웠던 개와 완전히 똑같은 강아지는 찾을 수 없다. 그렇다고 강아지 키우기를 포기하는가? 아니다. 동

    ahademy.tistory.com

    https://youtu.be/OOZGkRlFPEY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