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시간에 끝내는 학위 논문 작성법 3. 논문의 형식(5)

○ 가설은 근거가 필요하다
“자다가 봉창 두드린다”라는 말이 있다. 뜬금없이 뜻밖의 일을 불쑥 내미는 행동을 비유하는 속담이다. (통계적 연구방법을 사용하는) 논문에서 아무런 근거 없이 갑자기 (연구)가설이 툭 튀어나오면, 독자(심사위원)의 입장에서는 “무슨 자다가 봉창 두드리는 소리야”라는 말이 갑자기 툭 튀어나온다.
예를 들어, 저자가 갑자기 “키가 작은 학생이 키가 큰 학생보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성적이 높다.”라는 가설을 설정하면, “뜬금없이 왜?”라는 반응이 나오지 않는가? 하지만 다음과 같이 근거를 밝히고 가설을 설정하면 그 가설에 대해서 수긍할 수 있게 된다.
(현재의 고등학교 시스템과는 다를 수 있지만 저자가 고등학생이었을 때의 상황에 비추어 볼 때) 키 순서로 자리를 배정받기 때문에, 키가 작은 사람은 앞자리에 키가 큰 사람은 뒷자리에 앉는다. 선생님과 가까이 있을수록 집중도와 성실성이 높아지므로, 앞자리의 학생이 뒷자리의 학생보다 공부를 더 잘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공부를 잘 하는 성실한 학생은 교과서∙참고서∙사전 등 책을 가방에 가득 넣고 다니고 공부를 잘 하지 않는 학생은 교과서만 들고 다닌다. 가방의 무게가 성장에 방해가 될 수 있으므로, 무거운 가방을 들고 다니는 학생이 가벼운 가방을 들고 다니는 학생보다 공부를 더 잘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두 가지 근거를 바탕으로, “키가 작은 학생이 키가 큰 학생보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성적이 높다”라는 가설을 설정한다.
가설(假說, hypothesis)은 아직 검정되지 않은 그래서 본 연구에서 검정하고자 하는 아직은 “거짓(假)”일 수 있는 주장(說)이다. 이처럼 거짓일 수도 있는 주장을 아무런 근거도 없이 그냥 툭 던져놓는 것은 실례이다. (저자의 경험을 말하자면, 너무나 많은 학생들이 논리적 근거 없이 가설을 설정하기 때문에 “논리적 근거가 있는 가설”을 보게 되면 상대적 비교에 의해 그 논문이 상당히 훌륭해 보인다. 그래서 그 논문의 많은 문제점은 상대적으로 작아 보이게 된다.)
○ 결과는 해석이 필요하다
결과에 대한 해석은 주로 통계적 연구방법이나 수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했을 때 필요하다. 해석되지 않은 즉 의미가 도출되지 않은 결과(숫자)는 의미 없는 숫자일 뿐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통계적 분석에 의해 어떤 집단의 평균값으로 10이 나왔다면 그 10이 다른 집단에 비해 높은지 낮은지 혹은 100 중의 10이어서 낮은 것인지 12 중의 10이어서 높은 것인지 등 해석을 해서 그 숫자로부터 현실적 의미를 도출해야 한다.
숫자에 대한 해석뿐만 아니라 다음과 같은 결과에 대해서도 해석을 추가하면 논문이 상당히 돋보인다.
− 논리적 근거를 가지고 설정한 가설이 통계적으로 채택되지 못하는 결과가 나왔다면, 그 이유에 대한 진단∙해석
− 가설로 설정했던 것은 아니지만 흥미로운 결과(상식과 다른 결과 등)가 나타난 경우, 그 이유에 대한 진단∙해석
− 본 논문의 결과가 (선행연구에서 다룬) 기존 논문의 결과와 다른 경우, 그 이유에 대한 진단∙해석
○ 초록
초록은 논문 전체의 내용을 요약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이 “논문의 구성”에서 설명한 내용 중에서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를 빼고 나머지 정보로 요약하면 무난하다.
이 논문은 ~(연구주제)를 살펴보고 있다. 구체적으로 ~(연구문제 1)와 ~(연구문제 2)이다.
이 주제는 ~(연구배경 혹은 연구목적)이기 때문에 중요하다. (혹은, 이 논문은 ~에 ~을 기여한다.)
연구는 구체적으로 ~(연구방법)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연구방법을 사용한 이유는 ~이다.
주요 연구결과는 ~(연구결과)이며, 이 결과는 ~(결과해석)를 의미한다. 다만, 이 결과는 (연구의 한계점)에 한정된 것이다.
단, 본문이 한글이면 국문초록은 1쪽 정도로 요약하고, 영문초록(abstract)은 (국문초록 보다 내용을 조금 더 추가해서) 2쪽 정도로 요약하는 것을 권한다. 본문이 영어이면, 영문초록은 1쪽 정도로, 국문초록은 2쪽 정도로 요약하면 된다.
다음편
https://ahademy.tistory.com/m/16
2시간에 끝내는 학위 논문 작성법 4.지도교수
지도교수는 당신의 논문∙졸업에 상당히 중요하다. 왜냐하면 논문심사 전까지는 당신을 괴롭힘으로써 당신의 논문 수준을 높여주고, 심사 당일은 당신을 위해 당신이 막지 못한 심사위원들의
ahademy.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