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시간에 끝내는 학위 논문 작성법

2시간에 끝내는 학위 논문 작성법

아하데미 2021. 5. 21. 10:59


논문이 어렵다고? “훌륭한 논문”은 당연히 어렵다.
하지만 졸업은 할 수 있는 “졸업용 논문”은 의외로 가볍다.
인터넷에서 “논문 대필”이라는 문구로 검색해 보라. 박사학위를 받은 논문이 사실은 다른 사람에 의해 대필된 것이라는 기사가 있을 것이다.
충격적인 것은 박사논문의 대필자가 “학사만 졸업한” 사람이라는 사실이다.
그렇다. 학사만 졸업한 사람도 박사학위 심사를 통과하는 논문을 대필할 수 있을 만큼, 졸업용 논문은 의외로 가볍다.
당신에게 (이처럼 가벼운) 졸업용 논문조차도 어렵게 느껴지는 이유는 논문을 어떻게 써야 하는지를 몰라서일 뿐이다.
(그런 당신을 위해) 이 책은 논문을 어떻게 써야 하는지를 설명한다.
다만, (훌륭한 논문을 위해 갖추어야 할 “수많은 해야 한다”를 나열하기 보다는) “이 정도면 졸업은 할 수 있다”는 적절함에 초점을 두고 있다.
TOEIC에 비유하자면, (900점 이상의 고득점이 아니라) 입사∙입학 등의 지원자격인 750점 정도를 받기 위한 방법을 설명한 책이라고 보면 된다.
즉, 논문작성과 관련된 여러 훌륭한 (그만큼 어렵고 두꺼운) 책이 내용적∙양적∙시간적으로 부담스러운 (“수많은 해야 한다”에 질려 오히려 논문작성이 두려워지는) 사람이 짧은 시간에 간략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논문작성과 관련된 (“이 정도면 된다”에 해당하는) 최소한의 내용만 담고 있다.
저자가 경영학을 전공하였기 때문에, 이 책은 분야가 (경영, 경제, 사회, 정치, 행정, 사회복지, 언론 등) 사회과학인 사람에게 적합하다. 물론, 인문학∙자연과학∙공학 등 다른 분야의 사람에게도 논문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극복하는 데에는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목차
I. 논문이 갖추어야 할 3가지
1. 가치 있는 연구주제
○ 연구주제, 연구문제, 연구가설
○ 완전히 새로운 주제는 피할 것
○ 지도교수가 연구주제를 정해줬다면
○ 연구주제는 한 문장으로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 이런 주제면 적절한 가치는 있다
2. 논리적인 글
○ 얼마나 논리적이어야 하는가
○ 이렇게 하면 적절한 논리는 갖춘다
○ 논리성의 또 다른 축은 연구방법이다
○ 어떤 연구방법이 좋은가
3. 논문의 형식
○ 규칙이 너무 많아서 힘들다면
○ 출처를 표기하는 규칙은 다양하다
○ 인용은 이런 식으로
○ 간접인용은 얼마나 “재구성하여 표현”해야 하는가
○ 논문마다 구성이 제각기 다르다
○ 선행연구가 없다면
○ 선행연구를 찾는 방법
○ 논문은 어디서 어떻게 확보하는가
○ 다른 논문의 내용을 전부 정독할 필요는 없다
○ 가설은 근거가 필요하다
○ 결과는 해석이 필요하다
○ 초록
II. 지도교수
○ 지도교수의 지도 열의를 식혀버리는 학생
○ 이상적인 학생과 지도교수의 대화의 예
○ 지도교수에게 실망하고 있다면
III. 기타 조언 몇 가지
○ 졸업용 논문은 머리가 아니라 엉덩이가 쓴다
○ 질이 안 된다면 양이라도 채울 것
○ 표와 그림을 잘 활용할 것
○ 단어는 쉽게, 문장은 짧게, 사족 없이
○ 가급적 뛰어난 점 하나는 갖출 것
○ 다시 서론으로 돌아갈 것
○ 논문작성을 도와주는 소프트웨어를 찾아보고 배울 것
○ 맞춤법 검사는 타인에게
○ 논문심사에 들어가면 그 순간만큼은 전문가가 될 것

다음편

https://ahademy.tistory.com/m/4

2시간에 끝내는 학위논문 작성법 - 1.연구 주제

I. 논문이 갖추어야 할 3가지 (사회과학에서) 논문은 자신의 사실∙주장을 타인에게 학문적으로 설득하는 글이다. 그러므로 다음 세 가지 특성을 만족시켜야 한다. 첫째, 논문의 연구주제(사실∙

ahademy.tistory.com



https://youtu.be/OOZGkRlFPEY